MASA 프로토콜은 무엇인가?

태차장's avatar
Jan 06, 2025
MASA 프로토콜은 무엇인가?

Masa(MASA)


notion image
Masa는 개인이 자신의 데이터를 소유하고 공유하며 수익화할 수 있는 탈중앙화 AI 데이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사용자는 AI 모델 훈련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고, 그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. MASA 토큰은 이러한 생태계 내에서 유틸리티 토큰으로 활용되며, 데이터 제공자와 AI 개발자 간의 거래를 촉진합니다.
 
2024년 4월, Masa는 메인넷과 함께 MASA 토큰을 출시하였으며, 바이비트(ByBit), 후오비(Huobi), 게이트아이오(Gate.io) 등 주요 거래소에 상장되었습니다. 또한, 코인리스트(CoinList)에서 진행한 커뮤니티 토큰 세일을 17분 만에 완판하며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.
 
Masa(MASA)는 인공지능(AI)과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한 탈중앙화 AI 데이터 및 대규모 언어 모델(LLM) 네트워크입니다. 사용자는 자신의 데이터와 컴퓨팅 자원을 소유하고 공유하며, 이를 통해 AI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.
 
핵심 기술
  • 영지식 및 완전 동형 암호화: Masa는 영지식 증명과 완전 동형 암호화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를 보호하면서도 AI 모델 훈련에 기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.
  • 아발란체 서브넷: Masa 네트워크는 아발란체(AVAX) 블록체인의 서브넷으로 운영되며, 이를 통해 높은 확장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.
  • 데이터 마켓플레이스: Masa는 데이터 제공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양방향 데이터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하여, 사용자가 자신의 데이터를 기여하고 이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합니다.
최근동향
  • 메인넷 출시 및 거래소 상장: 2024년 4월 11일, Masa는 메인넷과 함께 유틸리티 토큰인 MASA를 공식 출시하였으며, 바이비트(ByBit), 후오비(Huobi), 게이트아이오(Gate.io) 등 주요 거래소에 상장되었습니다.
  • 사용자 및 노드 운영자 증가: 현재 Masa 네트워크에는 140만 명 이상의 고유 사용자와 48,000명의 노드 운영자가 참여하고 있으며, 3,800만 개 이상의 독점 데이터 포인트가 축적되어 AI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활용되고 있습니다.
  • 투자 유치 및 파트너십: Masa는 Animoca, Digital Currency Group 등 저명한 투자자로부터 총 1,800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하였으며, Binance MVB 및 Hashkey AI Accelerator와 같은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습니다. 또한, Polygon, zkSync, Avalanche 등 주요 프로젝트와의 협업을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 기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.
 

영지식이란? (Zero-Knowledge Proof, ZKP)


notion image

1. 영지식 증명의 핵심 개념

영지식 증명은 다음 세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  1. 완전성 (Completeness)
      • 참된 명제가 있을 때, 정직한 증명자는 검증자를 설득할 수 있어야 합니다.
  1. 건전성 (Soundness)
      • 거짓된 명제에 대해서는 증명자가 검증자를 속일 수 없어야 합니다.
  1. 영지식성 (Zero-Knowledgeness)
      • 검증자는 해당 명제가 참임을 알 수는 있지만, 그 명제 자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알 수 없어야 합니다.

2. 영지식 증명의 대표적인 방식

(1) 대화형 증명(Interactive Proofs)

  • 증명자(Prover)와 검증자(Verifier)가 여러 번 상호작용하며 증명을 진행합니다.
  • 예제: "페그 동굴(Peggy and Victor)" – 동굴 안의 비밀 문을 열 수 있는지 증명하는 사례.

(2) 비대화형 증명(Non-Interactive Proofs, NIZKP)

  • 증명자가 한 번의 증명을 제공하면, 검증자가 그것을 독립적으로 검증할 수 있습니다.
  • zk-SNARKs, zk-STARKs 등이 대표적인 비대화형 영지식 증명 기법입니다.

3. 영지식 증명의 활용 분야

(1) 블록체인과 암호화폐

  • 프라이버시 보호: Zcash, Aztec, Mina Protocol 등은 영지식 증명을 활용하여 거래 내역을 숨기면서도 유효성을 보장함.
  • 확장성: zk-Rollups(예: zkSync, Polygon zkEVM)은 트랜잭션을 압축하여 이더리움과 같은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높이는 데 사용됨.

(2) 신원 인증 및 데이터 보호

  • 비밀번호를 직접 제공하지 않고 로그인 검증 가능 (예: 영지식 신원증명, zk-ID)
  • 기업의 데이터 검증 시스템에서 개인 정보를 노출하지 않으면서 검증하는 데 활용.

(3) AI 및 데이터 프라이버시

  • 데이터 마켓플레이스(예: MASA)에서 사용자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제공하면서도, 데이터의 유효성을 증명할 때 활용.

4. 영지식 증명과 MASA

MASA는 영지식 증명을 활용하여 개인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도 AI 모델 훈련에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
즉, 사용자의 데이터가 공개되지 않으면서도 해당 데이터가 신뢰할 수 있는지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합니다.
주요 활용 방식:
  • 사용자의 신원 및 데이터 검증: MASA 생태계에서 사용자는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지만, 영지식 증명을 통해 데이터의 진위 여부만 검증되므로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음.
  • AI 모델 훈련에 사용: 기업이나 연구 기관이 개인 데이터를 활용하고 싶을 때, 원본 데이터를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훈련할 수 있음.
 
 
Share article

IMAG!NETHAT